728x90
반응형
SMALL
input()
파이썬에서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을 때 input() 함수를 사용한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input("인사를 입력하세요")

실행하면 위 사진같이 "인사를 입력하세요" 라는 문자열이 나타나고 대기 상태가 된다.

문자열 옆으로는 입력 대기를 알려주는 커서가 나타난다.

 

 

입력 내용 변수에 저장하기

>>>string = input("문자열 입력: ")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을 변수에 대입하고자 한다면 변수를 선언하고 대입연산자를 작성하면 된다.

"안녕하세요."라고 입력후 [Enter]를 누르면 string에 대입된다.

input() 함수는 함수 결과를 리턴해준다.

여기서 "안녕하세요."는 리턴값이 된다.

따라서 print(string)으로 확인해보면 리턴값을 확인할 수 있다.

 

input() 함수 자료형

input()함수는 무엇을 입력해도 무조건 string형이다.

이처럼 문자열을 입력하든 숫자를 입력하든 type은 string이 나온다.

 

문자열을 숫자로 바꾸기

input()함수는 항상 입력받은 값이 문자열이기 때문에 숫자는 숫자로 변형해주어ㅑ 한다.

이를 cast라고 한다.

int()함수

문자열을 int형으로 변형해준다.

>>>string1 = input("정수 입력: ")
정수 입력: 10
>>>number1 = int(string1)
>>>string2 = input("정수 입력: ")
정수 입력: 20
>>>number2 = int(string2)
>>>print(string1 + string2)
1020
>>>print(number1 + number2)
30
string1 에는 문자열 "10"이, number1에는 정수 10이 대입된다.
string2 에는 문자열 "20"이, number2에는 정수 20이 대입된다.

따라서 print(string1 + string2)는 문자열의 덧셈 연산으로 인해 1020이 출력되고
print(number1 + number2)는 정수끼리의 덧셈 연산으로 30이 출력된다. 

 

float()함수

문자열을 float형으로 변형해준다.

>>>string1 = input("실수 입력: ")
실수 입력: 1.25
>>>number1 = float(string1)
>>>string2 = input("실수 입력: ")
실수 입력: 2.4
>>>number2 = float(string2)
>>>print(string1 + string2)
1.252.4
>>>print(number1 + number2)
3.65
string1과 string2에는 input함수로 인해 입력한 실수들이 문자열로 대입되고
number1과 number2는 string값을 float함수로 캐스트했기 때문에 부동소수점이 대입된다.

따라서 print(string1 + string2)는 문자열을 잇는 값이 출력되고
print(number1 + number2)는 실수를 합산한 값이 출력된다.

 

숫자를 문자열로 바꾸기

str()함수
string이 아닌 다른 자료형의 값을 string으로 변형해주는 함수이다.
>>>string1 = str(18)
>>>string2 = str(0.175)
>>>print(type(string1), string1)
<class 'str'> 18
>>>print(type(string2), string2)
<class 'str'> 0.175
728x90
반응형
LIST

+ Recent posts